top of page

19년만에 바뀌는 공공망 규제, 업계 시장개화 준비 분주

- 1월 국정원 '국가망 보안체계' 초안 발표

- 2006년 물리적 망분리 원칙 시행 후 19년만의 변화

- 사이버보안 기업 대응 분주, 3월 실증사업 공고도 주목


지난달 국가정보원이 발표한 '국가망 보안 체계'(N2SF, 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) 시행을 앞두고 정보보안 기업들의 기대감도 커진다. 2006년 공공 망 분리 원칙이 시행된지 19년만에 맞이하는 대대적인 변화인 만큼 정부·공공발 보안 솔루션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.


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국가정보원 및 보안업계에 따르면 이르면 내달 중 '국가망 보안체계' 관련 선도형 실증사업 공고가 나온다. 앞서 지난 달 국정원은 '국가망 보안체계'(이하 N2SF) 초안을 통해 상반기 중 선도사업을 추진하고 시스템별로 단계적으로 새로운 망 보안 체계를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.


보안업계 관계자는 "N2SF의 핵심은 원격 접속자가 내부에 들어올 때 어떻게 제어할지, 데이터가 외부로 나갈 때 보안을 어떻게 할지, 등급이 다른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를 이동할 때 어떤 솔루션이 필요할지, 인증이나 계정 및 권한관리 등 통합계정 관리는 어떻게 할지로 요약된다"며 "해당 솔루션을 개발·판매하는 보안 솔루션 기업들이 자사의 솔루션이 어떻게 N2SF 체제에 적용될 수 있을지 알리고 새로 열릴 공공 보안시장 확대에 대비하고 있다"고 했다.


예컨대 20여년간 문서보안 분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RBI(원격 브라우저 격리) 등 솔루션을 출시한 소프트캠프 (890원 0.00%)는 논리적 망분리 기술을 바탕으로 C·S·O 등급 시스템간 데이터 송수신에서의 위협요소를 배제하는 데 장점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.



관련하여 뉴스 기사를 공유 드립니다.


제품
​상담
오시는
​길
bottom of page